Tags: Effective java, java
Categories: Java
이펙티브 자바 2장 공부 - 아이템1
이펙티브 자바 2장 아이템 1
생성자 대신 정적 팩터리 메서드를 고려하라
혼자 이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서 백기선님의 강의를 참고하고 있음을 미리 알립니다
장점 1 : 이름을 가질 수 있다.
public class Foo {
String name;
// 일반적인 생성자
public Foo(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정적 팩터리 메서드
public static Foo withname(String name) {
return new Foo(name);
}
}
위의 예시처럼 정적 팩터리 메서드는 이름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를 실행하는 입장에서는 다음과 같이 됩니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일반 생성자로 객체를 생성
Foo foo = new Foo("승욱");
// 정적 팩터리 메서드로 객체를 생성
Foo foo = Foo.withname("승욱");
}
이처럼 이름을 가짐으로서 의미 전달이 쉽게 가능합니다.
또한 일반 생성자는 같은 인자를 가지는 생산자를 단 1개만 만들 수 있지만, 정적 팩터리 메서드는 크게 문제가 없다. 다음과 같은 예시를 확인해봅시다.
public class Foo {
String name;
String address;
// 일반적인 생성자
public Foo(){}
public Foo(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Foo(String address){
this.address = address; // 에러. 인자가 같은 두 함수를 정의할 수 없음
}
// 정적 팩터리 메서드
public static Foo withname(String name) {
return new Foo(name);
}
// 같은 인자를 받더라도, 이름이 다르므로 문제 없음.
public static Foo withaddress(String address){
Foo ret = new Foo();
ret.address = address;
return ret;
}
}
장점 2 : 항상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할 필요가 없다.
불변 클래스(immutable class)는 인스턴스를 미리 만들거나, 새로 생성한 인스턴스를 캐싱하여 재활용하는 식으로 불필요한 객체 생성을 피할 수 있습니다.
public static Boolean valueOf(boolean b) {
return b ? Boolean.TRUE : Boolean.FALSE;
}
책에서 나온 예제입니다. b값이 true라면 Boolean 클래스에 미리 정의된 TRUE를, 아니면 FALSE를 리턴하도록 되어있습니다.
public class Foo {
String name;
String address;
...
private static final Foo MANAGER = new Foo();
public static Foo getManager() {
return MANAGER;
}
}
위 예시처럼 미리 정해놓은 MANAGER 객체를 데려오는 것 역시 가능할 겁니다.
장점 3. 리턴 타입의 하위 타입 객체를 반환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
반환할 객체의 클래스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java.util.Collections
가 해당 예인데 java.util.Collections
는 45개에 달하는 인터페이스 구현체의 인스턴스를 제공하지만, 그 구현체들은 모두 non-public으로 정적 팩터리 메서드를 통해 얻도록 했습니다.
인터페이스 뒤에 구현체들을 숨겨놓음에 따라 public으로 제공할 API를 줄이고 개념적인 무게까지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이 부분은 아직 감으로 체감되지 않는 부분이라 좀 더 생각해봐야할 듯합니다.
자바 8부터는 인터페이스에 정적 메서드를 가질 수 없다는 제한이 풀렸으므로 인스턴스화 불가 동반 클래스(예컨대 java.util.Collections
)를 둘 이유가 없지만, private static 메서드는 자바 9부터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것이 필요한 경우에는 자바 9부터 이용해야한다고 합니다.
public interface FooInterface {
public static Foo getFoo(){
return new Foo();
}
}
위와 같은 문법이 불가능 했기 때문에, java.util.Collections
클래스를 따로 만들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장점 4. 입력 매개변수에 따라 매번 다른 클래스의 객체를 반환할 수 있다.
3의 연장선으로 느껴지는 장점입니다.
public class Foo {
String name;
String address;
...
private static final Foo MANAGER = new Foo();
public static Foo getManager() {
return MANAGER;
}
// 다음과 같이 다른 클래스를 리턴하도록 할 수도 있다.
public static Foo getFoo(boolean flag) {
return flag? new Foo() : new BarFoo();
}
static class BarFoo extends Foo {
}
}
위와 같이 다른 클래스를 리턴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기도 합니다.
EnumSet 클래스는 생성자 없이 allOf(), of()
등의 정적 팩터리 메서드를 제공하는데, 객체의 타입은 enum의 개수에 따라 RegularEnumSet
또는 JumboEnumSet
을 반환한다고 합니다. 이런 것이 감춰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바의 버전이 바뀌거나, 새로운 타입을 만들더라도 크게 문제되지 않게 됩니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numSet<Color> colors = EnumSet.allOf(Color.class);
EnumSet<Color> blueWhite = EnumSet.of(BLUE, WHITE);
}
enum Color{
RED, BLUE, WHITE
}
위 예제는 원소가 3개 밖에 없지만, 매우 많아지는 경우 다른 타입을 리턴하는 것이지만,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몰라도 된다고 합니다. 애초에 숨겨두었기 때문에 몰라도 됩니다
장점 5. 정적 팩터리 메서드를 작성하는 시점에는 반환할 객체의 클래스가 존재하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유연함은 서비스 제공자 프레임워크(service provider framework)를 만드는 근간이 된다고 합니다. 대표적인 예시로 JDBC(Java Database Connectivity)를 들고 있습니다. (이 부분은 잘 모르겠습니다..)
public class Foo {
String name;
String address;
...
private static final Foo MANAGER = new Foo();
public static Foo getManager() {
return MANAGER;
}
// 다음과 같이 다른 클래스를 리턴하도록 할 수도 있다.
public static Foo getFoo(boolean flag) {
Foo foo;
// TODO 어떤 특정 약속 되어 있는 텍스트 파일에서 Foo의 구현체의 FQCN을 읽어온다. (Full Qualified Class Name 이라고 합니다.)
// TODO FQCN에 해당하는 인스턴스를 생성한다.
// TODO foo 변수를 해당 인스턴스를 가리키도록 수정한다.
// 즉, 메서드를 만들고 나서 Foo 타입의 다른 클래스를 만들 수 있다.
// 얼마든지 후에 바꿀 수 있다.
// 의존성을 밖에서 컨트롤한다.
// => 의존성 주입과 같은 개념과도 연관이 있을 수 있다고 합니다.
return foo;
}
}
위와 같이 정적 팩터리 메서드 내에서 다른 파일에서 완성된 객체를 공급받아 작성되도록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서비스 제공자 프레임워크는 3개의 핵심 컴포넌트로 이뤄지며, 구현체의 동작을 정의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
, 제공자가 구현체를 등록할 때 사용하는 제공자 등록 API
, 클라이언트가 서비스의 인스턴스를 얻을 때 사용하는 서비스 접근 API
가 그 주인공들이라고 합니다. 클라이언트가 서비스 접근 API
를 이용할 때, 원하는 구현체의 조건을 명시하면, 이에 따라 기본 구현체를 반환하거나 지원하는 구현체들을 하나씩 돌아가며 반환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서비스 접근 API
의 근간이 유연한 정적 팩터리
의 실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부가적으로 서비스 인터페이스의 인스턴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 인터페이스
라는 네 번째 컴포넌트가 쓰이기도 하는데, 이것은 서비스 인터페이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팩터리 객체를 설명해준다고 합니다. 이것이 없다면 각 구현체를 인스턴스로 만들 때 리플렉션(아직 잘 모르겠습니다.)을 사용해주어야 한다고 합니다. JDBC에서는 Connection
이 서비스 인터페이스
역할을, DriverManager.registerDriver
가 제공자 등록 API
역할을, DriverManager.getConnection
이 서비스 접근 API
역할을, Driver
가 서비스 제공자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고 합니다.
서비스 제공자 프레임워크 패턴에는 많은 변형이 있는데, 서비스 접근 API
는 공급자가 제공하는 것보다 더 풍부한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클라이언트에 반환할 수 있으며, 이를 브릿지 패턴(Bridge pattern)
이라고 합니다. 의존 객체 주입(dependency injection)
프레임 워크도 강력한 서비스 제공자라고 생각할 수 있다고 하며, 자바 6부터는 java.util.ServiceLoader
라는 범용 서비스 제공자 프레임워크가 제공되어 프레임워크를 직접 만들 필요도 거의 없어졌다고 합니다.
이 부분은 너무 어려워서 나중에 꼭 다시 봐야할 것 같습니다.
단점 1. 상속을 하려면 public이나 protected 생성자가 필요하니 정적 팩터리 메서드만 제공하면 하위 클래스를 만들 수 없다.
java.util.Collections
에서 제공하는 편의성 구현체는 상속할 수 없습니다. 다만, 상속을 할 필요가 없는 클래스인 경우 오히려 장점이 될 수도 있습니다.
단점 2. 정적 팩터리 메서드는 프로그래머가 찾기 어렵다.
생성자처럼 API 설명에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직접 클래스를 인스턴스화할 방법을 알아내야 합니다. API 문서를 잘 써놓고 메서드 이름도 널리 알려진 규약을 따라 짓는 것으로 문제를 완화해야 합니다.
Leave a comment